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지식

    ✔ CTS 란? 2023.08.23 - [SAP/BC] - # [SAP]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 [SAP]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0. CTS를 알기 위한 사전 지식 일반적으로 SAP System은 개발 ( DEV ) - 검증 ( QAS ) - 운영 ( PROD )의 형태로 구성된다. ( 상황에 따라서는 개발/검증을 하나의 서버에 Client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leehi0110.tistory.com

    ✔ CTS Import ? 2023.11.06 - [SAP/BC] - # [SAP] CTS Import

 

# [SAP] CTS Import

1. 파일을 OS 특정 경로에 입고 /usr/sap/trans/data : R[CTS number].[SID] /usr/sap/trans/cofiles : K[CTS number].[SID] Ex ) R123456.TES / K123456.TES 파일의 소유자 및 소유 그룹 변경 2. SAP에서 파일 Add Transport Request 검색을

leehi0110.tistory.com

1. CTS Import history

  • 일반적으로, 개발자와 이관자의 권한이 분리되어야 하는 감사 규정을 따른다.
  • 반영 이력 및 이관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순서대로 수행하면 된다.
  • T-code : STMS > Import Overview ( F5 )

  • Import history 내역을 보고자 하는 Queue를 선택하면 된다. (아래 예시에서는 품질 큐를 선택)
    이 경우, 품질 서버까지 반영 된 히스토리를 볼 수 있다. (운영 큐 선택시, 운영 서버까지의 반영 히스토리를 볼 수 있다.)

  • 상단의 Goto > Import History 선택

  • 아래 조회 화면은 해당 큐까지 반영 된 내역을 볼 수 있다. 다만, 반영한 유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과정을 추가로 수행해야 된다.

  • 상단 Edit > Display More > 해당 CTS를 이관한 User Column을 확인 가능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Standard Users Table - RSUSR003  (0) 2024.06.18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반응형

1. SAP Standard User 란?

  • SAP System은 클라이언트 생성시 아래와 같은 Standard Users를 생성한다.
User Description Client
SAP* SAP System super user 000, 001, 066
All new clients
DDIC ABAP Dictionary and software logistics super user 000, 001
EARLYWATCH Dialog user for the Early Watch service in clinet 066 066
SAPCPIC CPI-C User for SAP
-> This user is used for calling certain programs and function modules in SAP SYSTEM
000, 001

2. Client 별 SAP Standard Users 확인

  • T-code : SE38 ( SA38 ) > Program : RSUSR003 > Execute > Execute

  • SAP Notes - 2383에 따르면 SAP*는 "hard-coded" 된 유저로 유저 마스터를 가지지 않는다고 한다.
  • 아래 조회 결과에서는 해당 계정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오지만, 실제로 SAP* 계정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계정을 활성 / 비활성하기 위해서는 아래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 SAP*  Activating - 2024.04.22 - [SAP/BC]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Profile Parameter - RZ11 & RZ12 ? 2022.12.01 - [SAP/BC] -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1. SAP Profile & Parameter ? - 시스템이 동작하는 세부 내용에 대한 결정사항으

leehi0110.tistory.com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CTS Import history  (0) 2024.06.28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반응형

1. Local Client Copy ?

  • Local Client Copy란 한 시스템 내의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 복제 작업은 Target Client의 Logical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 만약, Logical System이 없는 경우 생성 필요 )

2. Local Client Copy 수행

  • 작업 수행을 위해 Target Client의 sap* 계정으로 접속 ( Target = 복제될 곳, Source = 복제할 곳 )

    ✔ sap* 접속 불가시 : 2024.04.22 - [SAP/BC]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Profile Parameter - RZ11 & RZ12 ? 2022.12.01 - [SAP/BC] -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1. SAP Profile & Parameter ? - 시스템이 동작하는 세부 내용에 대한 결정사항으

leehi0110.tistory.com

  • T-code : SCCL ( T-code for Local Client Copy ) / SCCLN ( New T-code for Local Client Copy )
    • Target Client : 복제 될 클라이언트
    • Selected Profile : 복제 범위
    • Description : Selected Profile에 따른 설명
    • Source Client : 복제 할 클리어은트 ( 해당 클라이언트의 논리 시스템 )
    • Test Run : 실제 작업 수행 전, 테스트 수행을 위한 기능

  • 복제 작업을 병렬로 수행하기 위해 Parameters parallel Processes 선택
  • 최대 병렬 프로세스 개수 및 특정 Logon/Server Group 설정 가능

  • 모든 설정이 완료 되면, Schedule as Background Job을 클릭 (권고)
  • Start Immediately를 선택할 경우, Dialog로 작업이 수행되는데 타임아웃 설정 전까지 작업이 끝나지 않으면 복제가 완료 되지 않는다.

  • 복제 작업을 즉시 수행하기 싶은 경우 Immediately를 선택 > Schedule Job 선택
  • 시작 시간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 Immediately 해제 > Schedule Job 선택

  • Continue 선택 시, 작업 실행

  • 작업 진행에 관한 내용은 T-code : SCC3에서 확인 가능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CTS Import history  (0) 2024.06.28
# [SAP] Standard Users Table - RSUSR003  (0) 2024.06.18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 SAP Batch Job ? 2022.12.07 - [SAP/BC] - # [SAP] Batch Job - SM37

 

# [SAP] Batch Job - SM37

1. SAP Batch Job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덜 필

leehi0110.tistory.com

1. SAP BTCTRNS1 ?

  • Release 상태인 모든 Batch Job을 suspend 상태로 변경하는 레포트이다.
  • 해당 레포트를 수행한 뒤에 생성된 작업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 현재 실행되고 있는 작업을 kill하지 않고, release 상태의 작업에만 영향을 준다.
  • 일반적으로, SAP System Upgrade시 작업들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데 사용된다.

2. SAP BTCTRNS1 실행

  • 우선, 현재까지 Release 상태의 배치 잡을 조회한다.
  • T-code : SM37 > Job NAME 입력 > Execute

  • 아래와 같이 현재 Release 상태인 배치 잡을 확인 할 수 있다.

  • Release 상태의 배치 잡을 suspend 상태로 바꾸기 위해 레포트 실행
  • T-code : SE38 > BTCTRNS1 > Execute
  • 레포트 실행 후, 배치 잡을 다시 조회하면 상태 값이 Release/susp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해당 레포트 실행 시, Released 상태의 모든 배치 잡이 suspend 상태로 변경된다. (아래 예제는 확인을 위해 1개의 잡만 조회)

3. SAP BTCTNRS2 ?

  • Suspended 상태인 모든 Batch Job을 Released 상태로 변경하는 레포트이다.
  • BTCTRNS1의 반대 작업으로, SAP System Upgrade시 중지(유예)시킨 작업을 원복하는데 사용된다.
  • Released/susp 되어있던 작업의 경우, 그 이전에 실행되었어야 하는 작업도 일괄로 실행된다.

4. SAP BTCTRNS2 실행

  • 우선, 현재 Released/susp 상태의 배치 잡을 조회한다.
  • T-code : SM37 > Batch Name 입력 > Execute

  • Released/susp 상태의 배치 잡을 Released 상태로 바꾸기 위해 레포트 실행
  • T-code : SE38 > BTCTRNS2 > Execute
  • 레포트 실행 후, 배치 잡을 다시 조회하면 상태 값이 Released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해당 레포트 실행 시, 이전에 수행되었어야 하는 작업들은 즉시 실행된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Standard Users Table - RSUSR003  (0) 2024.06.18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2024.04.22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SAP Batch Job이란 ? 2022.12.07 - [SAP/BC] - # Batch Job - SM37

 

# Batch Job - SM37

1. SAP Batch Job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덜 필

leehi0110.tistory.com

1. Report -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 대량의 Batch Job의 등록된 값들을 한번에 변경 할 수 있는 레포트로 프로그램, Variant, 배치 생성자, Step user, Target Server/Group을 변경 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관리자가 배치잡을 생성 후, 일관성 있는 관리를 위해 Batch Job을 수행하는 SYSTEM Type의 계정으로 생성자, Step user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2. BTC_MASS_JOB_CHANGE 사용법

  • 아래 첫번째는 레포트를 사용해 배치 생성자를 변경하는 예시이고, 두번째는 Step user를 변경하는 예시이다.
  • 먼저, 변경하고 자하는 배치 잡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 T-code : SM37 > Job Name : *TEST_JOB* > Execute

2-1) Batch Job 생성자 변경

  • T-code : SE38 > Program : BTC_MASS_JOB_CHANGE > Execute

  • Job Name 입력 > Change User 선택 > Old User (현재 설정된 유저), New User (변경을 원하는 유저) > Change Job Owner 선택

  • 아래의 Test Mode를 선택 후 실행하면, 실제로 변경되지 않고 해당 작업에 대한 테스트 결과가 출력된다.

  • Test Mode를 해제하고 실행하면, 작업 재 확인 팝업이 뜨고, Yes 선택시 수행 후 결과가 출력된다.

  • 이후, 변경 결과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T-code : SM37을 이용해 Batch Job Owner (생성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아래와 같이 Job CreatedBy의 값이 Admin에서 BATCH01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아래의 예시는 Batch Job의 Step user를 변경하는 과정이다.
  • T-code : SM37 > Job Name : "TEST_JOB* > Execute > 검색된 배치를 더블클릭 > Step 클릭 > Step user 확인

2-2) Step user 변경

  • T-code : SE38 > BTC_MASS_JOB_CHANGE > Execute > Job Name : TEST_JOB > Old User : ADMIN, New User : BATCH01 > Change Step User 선택 > Execute
  • 재확인 팝업 Yes 클릭 후, 결과 출력

  • 다시 이전 과정과 동일하게 해당 배치의 Step user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 있다.

3. BTC_MASS_JOB_CHANGE 활용

  • 위 예시들은 한 개의 배치에 대한 Owner, Step user를 변경하였지만, Job Name에 다수의 배치잡 혹은 "*"를 입력하여 다수의 배치 변경이 가능하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2024.04.22
# [SAP] Domain Controller ( 도메인 컨트롤러 )  (0) 2024.04.14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 Batch Job - SM37

1. SAP Batch Job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덜 필

leehi0110.tistory.com

1. TBTCO 란?

  • TBTCO ( Job Status Overview Table )는 SAP R/3 ERP System Standard Table로 일반적으로 배치 잡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해당 테이블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백그라운드(배치 잡 포함)의 여러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1) T-code : SE11 > TBTCO 입력 > Display > Table Contents > 조회하고자 하는 배치잡 입력

      2) T-code : SE16 > TBTCO 입력 > Table Contents

2. TBTCO Field

  • T-code : SE11을 이용해 TBTCO를 확인할 경우, 각 Field에 대한 설명을 확인 할 수 있다. ( 다른 테이블도 동일하다. )
  • 해당 테이블에 많은 필드가 존재하지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필드는 아래와 같다.
Key Field Field Short Description
JOBNAME Backgronund Job Name 백그라운드
JOBCOUNT Job ID ID
  SDLSTRTDT Scheduled start date for background job 현재 해당 백그라운드 잡이 Release 되어 있는 날짜
(배치잡을 조회하면 나오는 다음 실행 날짜)
  SDLSTRTTM Scheduled start time for background job 현재 해당 백그라운드 잡이 Release되어 있는 시간
(
배치 잡을 조회하면 나오는 다음 실행 시간)
  SDLDATE Date of job/step scheduling 백그라운드 /스텝을 등록한 일자
  SDLTIME Time of a scheduled job/step 백그라운드 /스텝을 등록한 시간
  SDLUNAME Initiator of job/step scheduling 백그라운드 /스텝을 등록한 사용자
  LASTCHDATE Date of last job change 백그라운드 잡이 마지막으로 변경 일자
  LASTCHTIME Time of last job change 백그라운드 잡이 마지막으로 변경 시간
  LASTCHNAME Last job change made by 백그라운드 잡을 마지막으로 변경한 사용자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1. SAP Profile & Parameter ? - 시스템이 동작하는 세부 내용에 대한 결정사항으로, 시스템이 구성되거나 반응하는 방향을 결정 짓는 시스템 환경 - Parameter들의 집합체를 Profile이라 볼 수 있다. 2. SAP 시

leehi0110.tistory.com

1. Check sap* login parameter ( 로그인 설정 파라미터 확인 )

  • T-code : RZ10 > login/no_automatic_user_sapstar > Display

  • 파라미터 세부 정보 확인
  • Dynamic Parameter 값이 No인 경우, 파라미터 변경 후 서비스 재시작 필요. ( YES 인 경우 바로 적용, 재부팅하면 기존으로 돌아감 )
  • 파라미터 값이 1인 경우 sap* 로그인 가능하고, 0인 경우 불가능하다.

1. Change sap* login parameter ( 로그인 설정 파라미터 변경 )

  • RZ10과 RZ11을 통해 변경하는 방법이 있지만 여기서는 RZ10을 통해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T-code : RZ10 > DEFAULT profile > Extended maintenance > Display > login/no_automatic_user_sapstar > Change > 0 ( sap* 로그인 가능 값 )으로 변경

  • 변경 후, 뒤로가기 클릭 시 파라미터 변경 여부 선택

  • 뒤로가기 한번 더 클릭 시, 프로파일 변경 여부 선택

  • 마지막으로 상단의 SAVE 버튼을 클릭하면 Profile Activate 여부 선택

  • Profile Activate시, version이 하나 올라가면서 설정이 완료 된다.

  • 이후, sap*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 ( 일반적으로 비밀번호는 " pass " 이다. )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1. What is Domain Controller ? 

  • Certain system settings are the same for all systems within a transport domain, such as the transport routes
  • To achieve this, one SAP System in the transport domain has the reference configuration, with all other SAP Systems in the transport domain taking copies of this reference configuration.
  • The system with the reference is known as the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같은 전송 경로 내의 도메인에 속해있는 몇몇 시스템의 세팅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의 설정을 참조하여 나머지 시스템이 동일하게 구성할 있다.
  • 이를 위해 설정의 참조가 되는 서버를 전송 도메인 컨트롤러 (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라고 한다.

 

  • Each time you change the reference configuration, you must distribute the new configuration to all system.
  • The TMS automatically generates RFC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in a domain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 기준이 되는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할 마다, 다른 시스템의 설정을 함께 변경된다.
  • 도메인 시스템은 RFC 이용해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이는 TMS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2. How to configure a system as the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Log on in client 000 in the SAP system that you want to configure as the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도메인 컨트롤러로 지정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000 클라이언트로 접속

  • T-code : STMS > TMS : Configure Transport Domain dialog box is displayed.
  • STMS 접속 , 전송 도메인 설정 창이 뜬다.

  • You are asked for the password of user TMSADM
  • TMS ADM 계정 생성을 위한 패스워드 입력

  • You need it to set up an SAP system group again. You change the password of user TMSADM later by executing program "TMS_UPDATE_PWD_OF_TMSADM"
  • SAP System group 구성을 위해 비밀번호가 필요하며, 'TMS_UPDATE_PWD_OF_TMSAMD" 프로그램을 실행해 비밀번호 변경 가능

  • You have to display Transport  Domain
  • 아래와 같이 전송 도메인이 설정 것을 확인 있다.

  • System Overview > Domain Controller 확인 가능

3. How to configure transport route with virtual System ( Virtual System 이용하여 Transport Route 구성 )

  • The virtual system is replaced when you install the real system.
  • 가상 시스템은 실 시스템이 설치 될 때 대체된다.
  • Transport Overview > SAP System > Create > Virtual System

  • Set Virtual System name and description
  • 가상 시스템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하여 생성 있다.

  • T-code : STMS > Transport Route > Confiiguration > Standard Configuration > Development and Production System
  • Landscape 설정을 수행한다. ( 일반적으로 3 Landscape 이지만, 지금은 임시 구성이므로 개발, 운영 시스템으로 설정 )

  • Sele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System and set route automatically
  • 개발과 운영으로 사용할 시스템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Route 설정 완료

 

Ref.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0. SAP Batch Job

  • T-code : SM36은 배치 잡을 등록,SM37은 배치 잡을 조회 할 수 있는 T-code 이다.

        SM36 - Batch Job 등록 : 2022.12.04 - [SAP/BC] - # [SAP] Batch Job - SM36 ( Job Wizard )

        SM37 - Batch Job Overview : 2022.12.07 - [SAP/BC] - # Batch Job - SM37

1. 배치 잡 시간 변경 ( Batch Job Schedule Change )

  • T-code : SM37 에서 시간 변경을 원하는 배치 잡 검색

  • 변경을 원하는 배치 선택 > 상단 툴 바에서 Job 선택 > Change 선택

  • 시간 변경의 경우 Start condition을 선택

  • Scheduled Start Date, Time을 원하는 값으로 변경

  • 주기 변경을 원하는 경우 하단의 Period values 클릭 후, 원하는 주기로 선택 후 저장

  • 시간 변경이 완료 되면, 아래 Job Start의 시간이 변경 된 시간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 해당 값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단의 Save 클릭

  • 저장 후, 검색 화면으로 돌아온다. 배치 잡을 다시 클릭하면 변경 된 시간으로 조회가 가능하다.

2. 배치 잡 작업 변경 ( Batch Job Step Change )

  • 변경을 원하는 배치 잡 선택 후 Change 모드로 진입 ( 시간 변경 과정과 동일 ) > Step 클릭

  • 기존 Step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 변경 한 Step 클릭 후 Change 선택
  • 신규 Step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 Create 선택

  • 신규 Step의 경우 Program name, Variant 설정 후 저장하면 신규 Step이 반여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1. SAP Batch Job ?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 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작업을 처리하고, 사용자의 상호작용이 덜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배치잡 조회 방법 : 2022.12.07 - [SAP/BC] - # Batch Job - SM37

 

# Batch Job - SM37

1. SAP Batch Job ?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덜

leehi0110.tistory.com

2. Batch Job Tcode ( T-code : SM36 )

  • 신규 배치 잡을 등록할 수 있는 T-code ( 배치잡을 정의한다고 볼 수 있다. )
  • 배치 등록을 위한 작업 명 / 프로그램 / Variant ( 필수는 아님 ) / 실행 일자 및 주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3. Batch Create without Job wizard ( 배치 등록 방법 )

     배치 등록 방법 ( Job Wizard 사용 ) : 2022.12.04 - [SAP/BC] - # [SAP] Batch Job - SM36 ( Job Wizard )

 

# [SAP] Batch Job - SM36 ( Job Wizard )

1. SAP Batch Job ?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덜

leehi0110.tistory.com

  1) T-code : SM36으로 이동해 생성하고자 하는 Job Name, Class, Target 입력

  2) Step 선택

  3) 배치 상세 입력

    -  Program, Variant ( 필수 아님 ), Language, User 입력
    -  User의 경우 실제 배치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계정

  4) Step List Overview

    -  해당 화면에서 직전에 등록한 배치 내용을 확인 및 추가할 수 있다.
    -  입력 내용 확인 후 추가 사항 없으면 뒤로가기 선택

    -  Create 버튼을 눌러 추가적인 Program step 입력 가능
    -  다수의 step 생성을 통해 하나의 배치로 프로그램들이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등록이 가능하다.
    -  새로운 스템의 내용 입력 후 저장하면, 아래와 같이 추가적인 프로그램이 등록 됨을 볼 수 있다.

  5) 배치잡 시간 설정

    -  배치잡 시간 설정을 위해 Start condition 선택
    -  일반적으로 배치잡은 주기적인 실행을 하기 때문에 Date/Time 선택하여 최초 실행 일자 입력

    -  Periodic Job 체크 후, Period Values를 클릭해 주기를 선택 할 수 있다.

    -  주기까지 선택 완료 후, 상단의 저장을 눌러 배치잡을 등록 할 수 있다.

    -  T-code : SM37 > 등록한 배치잡 검색

    -  배치잡을 등록한 후에 동일한 배치에 프로그램 추가, 시간 혹은 주기만 변경해서 여러 번 등록 할 수 있다.
    -  추가 프로그램 등록의 경우, step에서, 시간 및 주기는 Start condition에 들어가서 변경 할 수 있다.
       ( 아래는 시간 및 주기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

    -  시간을 저장하면 아래 Job Start Time이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저장 후, SM37에서 배치잡 조회 시, 변경된 시간으로 추가 등록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Domain Controller ( 도메인 컨트롤러 )  (0) 2024.04.14
# [SAP] Batch Change ( 배치잡 내용 변경 )  (0) 2024.03.21
# [SAP] Enable SAP GUI Script recording  (0) 2023.12.12
# [SAP] T-code : SGEN  (0) 2023.11.30
# [SAP] Batch Job Step  (2) 2023.11.13
반응형

1. SAP GUI Scripting Recording

  • 아래와 같이 Script Recording and Playback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음

2. Enable SAP GUI Scripting recording

  • 해당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Profile Parameter 수정이 필요함
  • T-code : RZ11 → " sapgui/user_scripting " parameter 조회

  • 설정 값이 False일 경우 해당 기능 사용 불가

  • Change Value 선택

  • SAP GUI 재 접속 후 해당 기능 활성화 됨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Batch Change ( 배치잡 내용 변경 )  (0) 2024.03.21
# [SAP] Batch Job - SM36 ( Without Job Wizard )  (0) 2024.02.23
# [SAP] T-code : SGEN  (0) 2023.11.30
# [SAP] Batch Job Step  (2) 2023.11.13
# [SAP] SU10  (0) 2023.11.10
반응형

1. T-code : SGEN

  • SAP에서 사용되는 Transaction Code의 경우 ABAP Code -> Compile 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초 사용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SGEN으로 모든 Component의 Object를 Generate하여, Compile 작업을 사전에 진행해 놓을 수 있다.

2. SGEN Execute

  • T-code : SGEN ( Component Object Generation Tcode / 시간이 오래 걸림 )
  • 하위 Checkbox를 선택하지 않은 이뉴는 Component에 하위 것들이 포함됨 ( 다시 말해, 가장 상위 개념만 하면 다른 것은 자동 처리 )

  • T-code : SM37 -> Active Background Job 조회

  • SGEN 관련 백그라운드 잡이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Batch Job - SM36 ( Without Job Wizard )  (0) 2024.02.23
# [SAP] Enable SAP GUI Script recording  (0) 2023.12.12
# [SAP] Batch Job Step  (2) 2023.11.13
# [SAP] SU10  (0) 2023.11.10
# [SAP] Role Copy  (0) 2023.11.09
반응형

0. Batch Job Step ?

  • 한 개의 배치 잡은 다수의 Job Step으로 이루어져 있다.
  • 다시 말해, 여러 Job Step ( Program ) 들을 모아 순차적으로 실행해 하나의 작업을 만들어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배치 잡이라고 할 수 있다.

    Batch Job - SM36 ? 2022.12.04 - [SAP/BC] - # Batch Job - SM36   
    Batch Job - SM37 ? 2022.12.07 - [SAP/BC] - # Batch Job - SM37

 

# Batch Job - SM36

1. SAP Batch Job ?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덜

leehi0110.tistory.com

1. Batch Job Step 변경

  • T-code : SM37 -> 변경하고자 하는 배치 입력 및 Execute ( Release 상태의 배치를 검색 )

  • 해당 배치 선택 -> Job -> Change -> step

  • 신규 Step을 등록하려면 Create ( 종이 아이콘 ) 
    ( 이번 포스팅에서는 등록을 기준으로 작성 )
  • 등록된 Step을 변경하려면 Change ( 연필 아이콘 )
  • 등록된 Step을 삭제하려면 delete Job from database ( 휴지통 아이콘 )

  • 실행하고자 하는 Name ( Program ) 및 Variant 설정 -> Save

  • Save 후 Job Step을 다시 조회하면 추가 되어 있음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Enable SAP GUI Script recording  (0) 2023.12.12
# [SAP] T-code : SGEN  (0) 2023.11.30
# [SAP] SU10  (0) 2023.11.10
# [SAP] Role Copy  (0) 2023.11.09
# [SAP] CTS Import  (0) 2023.11.07
반응형

0. T-code : SU10을 사용하면 대량의 사용자에 대한 일괄 작업이 가능하다.

 

1. 여러 사용자 일괄 삭제

  • T-code : SU10 → 삭제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 → 삭제 아이콘 선택 → 삭제

2. 여러 사용자 일괄 Unlock

  • T-code : SU10 → Unlock 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 → Unlock 아이콘 선택 → 삭제
  • Lock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 할 수 있다.

3. Clipboard를 사용하여 사용자 붙여넣기

  • 수동 입력이 아닌, Excel등과 같은 파일에 있는 대량의 사용자를 붙여 넣을 때 사용 가능
  • T-code : SU10 → Authorization Data → User → Multiple selection → Ctrl + C ( Excel Data ) → Upload from clipboard → execute → Select All → Transfer Selected Users
  • 이후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추가 작업 ( 삭제 / Lock / Unlock / Password 변경 ) 을 수행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T-code : SGEN  (0) 2023.11.30
# [SAP] Batch Job Step  (2) 2023.11.13
# [SAP] Role Copy  (0) 2023.11.09
# [SAP] CTS Import  (0) 2023.11.07
# [SAP] AL11  (0) 2023.09.20
반응형

1. Role Copy

  • T-code : PFCG → 복사 대상이 되는 Role을 입력 후 Copy 버튼 클릭

  • 복사 할 권한 ( From Role )과 생성 할 권한 ( To Role )을 입력 후 Copy all

2. Role Setting

  • 생성 될 권한의 Profile generate 및 User comparison 수행을 위해 Display

  • Authorization Tab 선택 후 Change 클릭
  • 특정 T-code를 추가하거나 Authorization Object의 값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 변경 후에 Generate 하면 된다.

  • Change Authorization Data 선택

  • Generate → 뒤로가기

  • User Tab 선택 후, User comparison 선택 ( 녹색으로 변경 되면 완료 )
  • 특정 유저를 추가 및 삭제하고 싶은 경우 수행 후 User comparison을 진행하면 된다.

  • 이후 권한을 저장하면 특정 권한을 복사한 신규 권한 생성이 완료 된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Batch Job Step  (2) 2023.11.13
# [SAP] SU10  (0) 2023.11.10
# [SAP] CTS Import  (0) 2023.11.07
# [SAP] AL11  (0) 2023.09.20
# [SAP] Release TR Rollback  (0) 2023.08.24
반응형

1. 파일을 OS 특정 경로에 입고

  • /usr/sap/trans/data : R[CTS number].[SID]
  • /usr/sap/trans/cofiles : K[CTS number].[SID]

    Ex ) R123456.TES / K123456.TES

  • 파일의 소유자 및 소유 그룹 변경

2. SAP에서 파일 Add

  • Transport Request 검색을 통해 등록 후, 적용 할 클라이언트 입력
  • Extras -> Other Requests -> Add

  • Transport Request 검색을 통해 등록 후, 적용 할 클라이언트 입력

  • Import Queue에 등록되면 아래와 같이 조회 가능

3. Import CTS 이관

  • 해당 CTS 선택 후 Import  수행
  • 아래 옵션은 각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 Yes 선택 시, Import한 CTS가 반영된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SU10  (0) 2023.11.10
# [SAP] Role Copy  (0) 2023.11.09
# [SAP] AL11  (0) 2023.09.20
# [SAP] Release TR Rollback  (0) 2023.08.24
# [SAP]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0) 2023.08.23
반응형

1. AL11 이란?

  • Transaction AL11 is used to view the SAP directory on an application server.
  • AL11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SAP 파일 디렉토리를 보기 위해 사용되는 T-code 이다.
  • 단순히 SAP Directory뿐 아니라, 폴더 아래의 파일들을 OS 단계에서 호출하여 SAPGUI 에서 확인도 가능하다.

2. AL11 등록

  • OS Level 에서 테스트 폴더 생성
mkdir test_dir
chmod 777 test_dir
chown [계정]:[sapsys] test_dir
ll | grep test_dir

  • Application에 등록
    • T-code : AL11 → Configure user direction → 입력 → Save → 뒤로 가기

3. File Download ( 파일 다운로드 )

  • test_dir 경로 하위에 test.txt 파일을 생성 후 test files 입력

  • AL11의 DIR_TEST를 들어가면 test.txt 파일 확인 가능 ( 더블 클릭 시 권한에 따라 내용 확인이 가능하다. )

  • 다운로드 할 파일을 선택 후, T-code : CG3Y 실행 → 입력 후 Download
    • Source file on application server : 다운로드 할 파일의 경로
    • Target file on front end : 다운로드 받을 경로

4. File upload ( 파일 업로드 )

  • Upload test를 위한 파일 생성

  • T-code : CG3X → 입력 후 Upload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Role Copy  (0) 2023.11.09
# [SAP] CTS Import  (0) 2023.11.07
# [SAP] Release TR Rollback  (0) 2023.08.24
# [SAP]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0) 2023.08.23
# [SAP] Role Import / Export  (0) 2023.08.11
반응형

0. CTS / Request 란?

1. Requeset Overview Table

  • T-code : SEE11 혹은 SE16 > Table Name : E070 > Display > Contents > Request/Task 입력 > Execute

  TRSTATUS ? Request / Task 상태를 저장하는 Standard field 값으로, 5개의 상태 중 D (Modifiable) / R (Released) 가 가장 일반적이다.

2. Released TR Rollback ( Change Released TR into Unreleased TR )

  • T-code : SE38 > Program : RDDIT076 > Execute > Request / Task 입력 -> Execute

  • Target Sys가 지정되어 있는 GDVK9A090V가 Request이고, GDVK9A090V가 Task 이다.

  • Request를 Release에서 Modifiable로 되돌리고 싶다면 Task -> Request 순서로 진행해주어야 한다.
    • Task 더블 클릭 > Change > Status의 "R" 을 "D"로 변경 후 Continue

  • Task Status 변경 후, 동일한 방법으로 Request Status도 변경을 진행하면 된다.

  • 이후, 다시 E070 Table을 이용해 Request를 조회하면 "D" 상태로 전환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T-code : SE09를 이용해서도 Request가 Released → Modifiable로 변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CTS Import  (0) 2023.11.07
# [SAP] AL11  (0) 2023.09.20
# [SAP]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0) 2023.08.23
# [SAP] Role Import / Export  (0) 2023.08.11
# [SAP] 권한에 속한 T-code  (0) 2023.08.04
반응형

0. CTS를 알기 위한 사전 지식

  • 일반적으로 SAP System은 개발 ( DEV ) - 검증 ( QAS ) - 운영 ( PROD )의 형태로 구성된다.
    ( 상황에 따라서는 개발/검증을 하나의 서버에 Client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각각 분리된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

  • 개발 서버에서 수행한 프로그램 개발 및 IMG 변경은 품질 서버로 이관된 뒤, 테스트가 완료되면 운영 서버에 최종 반영하는 것이 기본적인 프로세스이다.

1.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 CTS는 각 서버에서의 변경 작업을 다음 서버로 이관할 수 있도록 하는 Tool 이다.
  • 각 서버의 Target System은 이관을 위한 목적지 시스템, 즉 개발의 Target은 품질이고, 품질의 Target은 운영 시스템 이다.
  • 이관은 Change Request Number ( CTS No 혹은 Request No ) 단위로 가능하며, 작업이 끝나는 경우 Release 후 이관을 진행 할 수 있다.

      Transport Organizer ( Extended View ) T-code : SE01

      Transport Organize T-code : SE09

2. Request의 종류

  • Workbench Request : Repository Object의 변경을 위해 사용되며, 한 시스템 내의 모든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Customizing Request : Client-specific Customizing Objects들의 변경에 관한 것으로, 특정 한 클라이언트에만 영향을 미친다.

3. CTS 이점

  • 하나의 CTS ( Request ) 의 작업이 완료 되어 Release 상태로 변경되면, 추가로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일 작업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새로운 CTS를 생성해야 한다.
  • 이렇게 때문에, CTS No를 이용하면 특정 작업에 대한 이력을 쌓아 관리할 수 있고, 필요시 특정 시점으로 원복이 가능하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AL11  (0) 2023.09.20
# [SAP] Release TR Rollback  (0) 2023.08.24
# [SAP] Role Import / Export  (0) 2023.08.11
# [SAP] 권한에 속한 T-code  (0) 2023.08.04
# [SAP] Favorite 추가 및 설정  (0) 2023.07.31
반응형

0. 사전 내용

  •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SAP는 개발 (Dev) -> 검증(QAS) -> 운영(PROD)와 같은 Landscape로 구성된다.
  • 품질 서버의 데이터를 운영과 동일하기 맞추기 위해 주기적으로 데이터 최신화 ( QA Copy ) 작업을 진행한다.
  • 데이터 최신화 작업은 규모가 큰 작업이기 때문에 특정 데이터만 이관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알아 두는 것이 필요하다.
  • 아래는, 운영에 있는 권한 (Role)을 품질에서 동일하게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권한을 Import / Export 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1. Role Export ( Download )

  • T-code : PFCG -> Role 이름 입력 -> Menu bar -> Role -> Download

2. Role Import ( Upload )

  • T-code : PFCG -> Menu bar -> Role -> Upload

3. Profile Generate

  • T-code : PFCG -> Role 입력-> Change -> Authorizations -> Change Authorization Data -> Generate -> Save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