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지식

    ✔ CTS 란? 2023.08.23 - [SAP/BC] - # [SAP]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 [SAP] CTS ( Change and Transport System )

0. CTS를 알기 위한 사전 지식 일반적으로 SAP System은 개발 ( DEV ) - 검증 ( QAS ) - 운영 ( PROD )의 형태로 구성된다. ( 상황에 따라서는 개발/검증을 하나의 서버에 Client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leehi0110.tistory.com

    ✔ CTS Import ? 2023.11.06 - [SAP/BC] - # [SAP] CTS Import

 

# [SAP] CTS Import

1. 파일을 OS 특정 경로에 입고 /usr/sap/trans/data : R[CTS number].[SID] /usr/sap/trans/cofiles : K[CTS number].[SID] Ex ) R123456.TES / K123456.TES 파일의 소유자 및 소유 그룹 변경 2. SAP에서 파일 Add Transport Request 검색을

leehi0110.tistory.com

1. CTS Import history

  • 일반적으로, 개발자와 이관자의 권한이 분리되어야 하는 감사 규정을 따른다.
  • 반영 이력 및 이관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순서대로 수행하면 된다.
  • T-code : STMS > Import Overview ( F5 )

  • Import history 내역을 보고자 하는 Queue를 선택하면 된다. (아래 예시에서는 품질 큐를 선택)
    이 경우, 품질 서버까지 반영 된 히스토리를 볼 수 있다. (운영 큐 선택시, 운영 서버까지의 반영 히스토리를 볼 수 있다.)

  • 상단의 Goto > Import History 선택

  • 아래 조회 화면은 해당 큐까지 반영 된 내역을 볼 수 있다. 다만, 반영한 유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 과정을 추가로 수행해야 된다.

  • 상단 Edit > Display More > 해당 CTS를 이관한 User Column을 확인 가능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Standard Users Table - RSUSR003  (0) 2024.06.18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반응형

1. SAP Standard User 란?

  • SAP System은 클라이언트 생성시 아래와 같은 Standard Users를 생성한다.
User Description Client
SAP* SAP System super user 000, 001, 066
All new clients
DDIC ABAP Dictionary and software logistics super user 000, 001
EARLYWATCH Dialog user for the Early Watch service in clinet 066 066
SAPCPIC CPI-C User for SAP
-> This user is used for calling certain programs and function modules in SAP SYSTEM
000, 001

2. Client 별 SAP Standard Users 확인

  • T-code : SE38 ( SA38 ) > Program : RSUSR003 > Execute > Execute

  • SAP Notes - 2383에 따르면 SAP*는 "hard-coded" 된 유저로 유저 마스터를 가지지 않는다고 한다.
  • 아래 조회 결과에서는 해당 계정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오지만, 실제로 SAP* 계정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당 계정을 활성 / 비활성하기 위해서는 아래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 SAP*  Activating - 2024.04.22 - [SAP/BC]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Profile Parameter - RZ11 & RZ12 ? 2022.12.01 - [SAP/BC] -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1. SAP Profile & Parameter ? - 시스템이 동작하는 세부 내용에 대한 결정사항으

leehi0110.tistory.com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CTS Import history  (0) 2024.06.28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반응형

1. MDD 란?

    • Maximum Drowdown 의 약어로 최대 '최대 낙폭' 혹은 '최대 손실 낙폭'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 일정 기간동안 최고점과 최저점의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으로 과거 전고점 대비 가장 많이 하락한 지점까지의 폭을 MDD라고 한다.
    • 흔히, 고점대비 몇%가 빠졌다라는 말을 사용할 때가 이 MDD 값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2. MDD 계산법

  • MDD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리고 이 값을 이용하면 해당 주식의 변동성에 대해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MDD 값이 높다 = 변동성이 크다 / MDD 값이 작다 = 변동성이 작다를 의미합니다.
  • MDD의 값이 높기 위해서는 분자 (최고점 가격 - 최저점 가격)가 커야하고 이는 곧 최저점 가격이 낮음을 의미합니다.
  • 반대로, MDD 값이 낮기 위해서는 분자가 작아야 하고, 이는 곧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위의 예시를 통해 MDD 값을 통해 변동성의 크기에 대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이제 MDD 계산법으로 이를 이용해 6월 7일 장 마감일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1년 기준 MDD를 계산 해보겠습니다.

  • 네이버에 삼성전자 주가를 검색하여 위와 같이 1년 최고/최저가를 확인 한 뒤, 이를 MDD 계산법에 대입하면
    23.5%라는 값을 얻을 수 있고, 이 값이 삼성전자의 MDD 값이 됩니다.

3. MDD는 어디에 쓰일까 ?

  • MDD 공식에서 볼 수 있듯이, 해당 지표는 최대의 이익에서 최악의 손실까지의 낙폭을 나타내기 때문에
    투자를 함에 있어 최악의 경우 이 정도까지의 손실을 볼 수 있겠다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 가능합니다.
  • 자신이 가진 종목이 어느정도의 MDD를 파악하고 있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하락장에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게 되고
    이는 단순히 심리적인 측면에서 그치지 않고 추가 매수를 통해 더 좋은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됩니다.
  • 포트폴리오 구성시에 MDD가 높은 종목들을 주로 보유하고 있다면, MDD가 낮은 종목을 편입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개인적인 의견

  • 필자는 MDD라는 개념을 퀸트투자에 대해 공부하며 처음 알게되었고, 주식으로 돈을 버는것도 중요하지만 지키는 것또한 매우 중요함을 알게되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MDD를 통해 (물론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나의 심리적 안정을 지키기 위해 해당 지표를 이해하고 사용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1. Local Client Copy ?

  • Local Client Copy란 한 시스템 내의 특정 클라이언트에서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 복제 작업은 Target Client의 Logical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 만약, Logical System이 없는 경우 생성 필요 )

2. Local Client Copy 수행

  • 작업 수행을 위해 Target Client의 sap* 계정으로 접속 ( Target = 복제될 곳, Source = 복제할 곳 )

    ✔ sap* 접속 불가시 : 2024.04.22 - [SAP/BC]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Profile Parameter - RZ11 & RZ12 ? 2022.12.01 - [SAP/BC] -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1. SAP Profile & Parameter ? - 시스템이 동작하는 세부 내용에 대한 결정사항으

leehi0110.tistory.com

  • T-code : SCCL ( T-code for Local Client Copy ) / SCCLN ( New T-code for Local Client Copy )
    • Target Client : 복제 될 클라이언트
    • Selected Profile : 복제 범위
    • Description : Selected Profile에 따른 설명
    • Source Client : 복제 할 클리어은트 ( 해당 클라이언트의 논리 시스템 )
    • Test Run : 실제 작업 수행 전, 테스트 수행을 위한 기능

  • 복제 작업을 병렬로 수행하기 위해 Parameters parallel Processes 선택
  • 최대 병렬 프로세스 개수 및 특정 Logon/Server Group 설정 가능

  • 모든 설정이 완료 되면, Schedule as Background Job을 클릭 (권고)
  • Start Immediately를 선택할 경우, Dialog로 작업이 수행되는데 타임아웃 설정 전까지 작업이 끝나지 않으면 복제가 완료 되지 않는다.

  • 복제 작업을 즉시 수행하기 싶은 경우 Immediately를 선택 > Schedule Job 선택
  • 시작 시간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 Immediately 해제 > Schedule Job 선택

  • Continue 선택 시, 작업 실행

  • 작업 진행에 관한 내용은 T-code : SCC3에서 확인 가능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CTS Import history  (0) 2024.06.28
# [SAP] Standard Users Table - RSUSR003  (0) 2024.06.18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 SAP Batch Job ? 2022.12.07 - [SAP/BC] - # [SAP] Batch Job - SM37

 

# [SAP] Batch Job - SM37

1. SAP Batch Job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덜 필

leehi0110.tistory.com

1. SAP BTCTRNS1 ?

  • Release 상태인 모든 Batch Job을 suspend 상태로 변경하는 레포트이다.
  • 해당 레포트를 수행한 뒤에 생성된 작업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 현재 실행되고 있는 작업을 kill하지 않고, release 상태의 작업에만 영향을 준다.
  • 일반적으로, SAP System Upgrade시 작업들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데 사용된다.

2. SAP BTCTRNS1 실행

  • 우선, 현재까지 Release 상태의 배치 잡을 조회한다.
  • T-code : SM37 > Job NAME 입력 > Execute

  • 아래와 같이 현재 Release 상태인 배치 잡을 확인 할 수 있다.

  • Release 상태의 배치 잡을 suspend 상태로 바꾸기 위해 레포트 실행
  • T-code : SE38 > BTCTRNS1 > Execute
  • 레포트 실행 후, 배치 잡을 다시 조회하면 상태 값이 Release/susp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해당 레포트 실행 시, Released 상태의 모든 배치 잡이 suspend 상태로 변경된다. (아래 예제는 확인을 위해 1개의 잡만 조회)

3. SAP BTCTNRS2 ?

  • Suspended 상태인 모든 Batch Job을 Released 상태로 변경하는 레포트이다.
  • BTCTRNS1의 반대 작업으로, SAP System Upgrade시 중지(유예)시킨 작업을 원복하는데 사용된다.
  • Released/susp 되어있던 작업의 경우, 그 이전에 실행되었어야 하는 작업도 일괄로 실행된다.

4. SAP BTCTRNS2 실행

  • 우선, 현재 Released/susp 상태의 배치 잡을 조회한다.
  • T-code : SM37 > Batch Name 입력 > Execute

  • Released/susp 상태의 배치 잡을 Released 상태로 바꾸기 위해 레포트 실행
  • T-code : SE38 > BTCTRNS2 > Execute
  • 레포트 실행 후, 배치 잡을 다시 조회하면 상태 값이 Released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해당 레포트 실행 시, 이전에 수행되었어야 하는 작업들은 즉시 실행된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Standard Users Table - RSUSR003  (0) 2024.06.18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0) 2024.05.19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2024.04.22
반응형

1. tcpdump란 ?

  • tcpdump란 대부분의 유닉스 계열의 시스템으로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캡쳐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유틸리티이다.
  • 일반적으로 특정 시스템에서의 패킷을 TCP Layer에서 캡쳐하여 파일로 저장한 뒤, 트러블 슈팅에 사용한다.
  •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여 아래의 내용들을 확인 가능하다.
    • 특정 이더넷을 거쳐가는 패킷 헤더 또는 전체를 캡쳐
    • 해당 시스템과 원격지 대상 호스트 간 송수신 되는 패킷 헤더 또는 전체 캡쳐
    • 해당 시스템과 원격지 대상 호스트 간 송수신 되는 패킷 중 특정 포트(서비스)를 통해 송수신 되는 패킷 헤더 또는 전체 캡쳐

2. tcpdump 설치

# tcpdump 설치 확인
tcpdump --version

tcpdump 미설치
tcpdump 설치

# Ubuntu, Debian tcpdump install
sudo apt install tcpdump

# CentOS, Fedora tcpdump install
sudo yum install tcpdump

3. tcpdump 사용 형식

  • 아래 4번의 옵션들을 조합하여 필요한 값을 캡쳐할 수 있다.
# tcpdump 일반 구문
# tcpdump [option] [expression] [host]

# host가 10.123.45.67인 패킷 중 eth1을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캡쳐
tcpdump -i eth1 host 10.123.45.67

# 인터페이스 eth1을 통해 송수신 되는 패킷을 캡쳐하여 capture.pcap 파일에 저장
tcpdump -i eth1 -r capture.pcap

# 인터페이스 eth2를 통해 송수신 되는 패킷의 자세한 정보를 캡쳐하여 detail_capture.pcap 파일에 저장
tcpdump -i eth2 -vv detail_capture.pcap

4. tcpdump 옵션 및 예제

  • tcpdump 사용시 많이 사용 하는 옵션
## tcpdump -i [interface] 
# 접속 인터페이스 옵션으로 [interface]를 경유하는 패킷을 캡쳐

# 인터페이스 eth1을 경유하는 패킷 캡쳐
tcpdump -i eth1

# 인터페이스 ens224를 경유하는 패킷 캡쳐
tcpdump -i ens224
## tcpdump -c [number]
# 카운트 옵션으로 [number] 개수만큼의 패킷을 캡쳐

# 10개의 패킷을 캡쳐
tcpdump -c 10
## tcpdump -w [file]
# 쓰기 옵션으로, 캡쳐한 패킷을 분석해 출력하는 대신 [file]로 저장

# 캡쳐한 패킷을 capture.pcap 파일에 저장
tcpdump -r capture.pcap

## tcpdump -r [file]
# 읽기 옵션으로, -w 옵션을 이용해 생성한 [file]을 읽을 수 있다. 
# 패킷을 캡쳐해 파일을 우선 생성한 뒤, 해당 옵션을 이용해 읽는 명령어

# -w 옵션을 사용해 생성한 파일 capture.pcap 읽기
tcpdump -r capture.pcap
## tcpdump -n | -nn
# 패킷을 출력시, ip, address를 hostname으로, port는 잘 알려진 프로토콜로 출력하지 않음

# -nn 옵션 미사용시 (Wellknown port인 https로 표현)
tcpdump
16:53:59.513734 IP 10.123.243.2.https < 10.123.243.3.37978: Flag ~

# -nn 옵션 사용시 (포트 번호인 443으로 표현)
tcpdump
16:53:59.513734 IP 10.123.243.2.443 < 10.123.243.3.37978: Flag ~
## tcpdump -v
# 세부 정보 옵션으로 표시될 패킷 정보의 세부 정도를 결정
## tcp dump -vv
# -v 옵션보다 더 많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

tcpdump
17:18:33.335389 IP 10.123.45.678.59228 > hsg07s55-in-f14.1e100.net.https: Flags [.], ack 2020704443, win 6172, options [nop,nop,TS val 3703095522 ecr 2592716460], length 0
# Source IP, Destination IP, Protocol 등 기본적인 내용

tcpdump -v
17:18:49.471437 IP (tos 0x0, ttl 64, id 58615, offset 0, flags [DF], proto TCP (6), length 1452)
	    10.123.45.678.51694 > hsg07s55-in-f14.1e100.net.https: Flags [.], cksum 0x0fd6 (correct), seq 3655913527:3655914927, ack 3852274365, win 29052, options [nop,nop,TS val 613567533 ecr 65989289], length 1400
# Source IP, Destination IP, Protocol, Source MAC, Destination MAC, Type of linke 등

tcpdump -vv
17:18:54.840046 IP (tos 0x0, ttl 64, id 22935, offset 0, flags [DF], proto TCP (6), length 52)
    10.123.45.678.61857 > hsg07s55-in-f14.1e100.net.https: Flags [.], cksum 0xf881 (correct), seq 4122856888, ack 3635517398, win 7258, options [nop,nop,TS val 1753827895 ecr 547629078], length 0
# 패킷의 모든 필드를 포함하여, 프레임 길이, 프로토콜 버전, 플래그 등과 같은 자세한 정보
# tcpdump -s [PacketSize]
## snapshot lenght 옵션으로 캡쳐할 패킷의 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다.
## 기본값은 0으로 이는 전체 패킷 내용을 포함시킨다.

# 캡쳐하는 패킷의 사이즈를 65,535 Byte로 지정 (65,535는 -s 옵션으로 지정 가능한 최대 값)
tcpdump -s 65535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Infra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Supportconfig  (0) 2024.04.18
# [Linux] VirtualBox 설치 에러 ( Microsoft Visual C++ 2019 )  (0) 2024.03.19
# [Linux] VirtualBox 설치  (2) 2024.03.19
# [Linux] LVM  (0) 2023.07.26
# [Linux] tmux 설치  (0) 2023.05.17
반응형

0. 이슈 (Issue)

  • HANA Studio에서 "1 own or chain certificate will expire soon." 이라는 high alert 발생
  • 더블 클릭을 해 해당 Alert 발생 이력을 확인

1. 원인 (Cause)

  • HANA Studio를 이용해 Tenant Database에 접속한 뒤, SYSTEM이나 비슷한 수준의 권한을 가진 계정으로 로그인
  • 어떤 인증서가 만료되기 직전인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SQL 실행 (HANA Studio Open SQL Console 사용)
SELECT * FROM certificates;
SELECT * FROM PSE_CERTIFICATES;

  • SQL 결과를 확인하면, CERTIFICATE_NAME이 _SYS_CLIENTPKI_HOST_CERT인 인증서에 대한 만료일자가 도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Host certificates는 서버의 신뢰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 인증 스토어 (Database certificate store)에 보관된다.
  • Host certificates는 180일간 지속되며, 만료일 32일 전에 시스템이 재시작되거나 호스트가 추가 혹은 제거된 경우 자동으로 갱신된다.
  • 만약, 시스템 재시작이 어려운 경우 아래 해결방법 (SQL Statement)를 이용하여 갱신이 가능하다.

2. 해결 방법 (Resolution)

  • 아래의 SQL Statement를 실행하여 인증서를 업데이트 한다.
ALTER SYSTEM CLIENTPKI UPDATE CERTIFICATES

  • SQL 실행 후, 인증서가 갱신 되었는지 다시 확인한다.
SELECT * FROM certificates;
  • Tenant DB에서 인증서 갱신이 끝나면, SYSTEM DB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해준다.
  • 인증서 업데이트 전, 아래 SQL Statement를 실행하여 만료된 인증서 확인
SELECT * FROM certificates;
SELECT * FROM PSE_CERTIFICATES;

  • SQL Statement를 실행하여 인증서를 업데이트 한다.
ALTER SYSTEM CLIENTPKI UPDATE CERTIFICATES

  • SQL 실행 후, 인증서가 갱신 되었는지 다시 확인한다.
SELECT * FROM certificates;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SAP Batch Job이란 ? 2022.12.07 - [SAP/BC] - # Batch Job - SM37

 

# Batch Job - SM37

1. SAP Batch Job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덜 필

leehi0110.tistory.com

1. Report - BTC_MASS_JOB_CHANGE : Mass Change Of Jobs

  • 대량의 Batch Job의 등록된 값들을 한번에 변경 할 수 있는 레포트로 프로그램, Variant, 배치 생성자, Step user, Target Server/Group을 변경 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관리자가 배치잡을 생성 후, 일관성 있는 관리를 위해 Batch Job을 수행하는 SYSTEM Type의 계정으로 생성자, Step user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2. BTC_MASS_JOB_CHANGE 사용법

  • 아래 첫번째는 레포트를 사용해 배치 생성자를 변경하는 예시이고, 두번째는 Step user를 변경하는 예시이다.
  • 먼저, 변경하고 자하는 배치 잡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 T-code : SM37 > Job Name : *TEST_JOB* > Execute

2-1) Batch Job 생성자 변경

  • T-code : SE38 > Program : BTC_MASS_JOB_CHANGE > Execute

  • Job Name 입력 > Change User 선택 > Old User (현재 설정된 유저), New User (변경을 원하는 유저) > Change Job Owner 선택

  • 아래의 Test Mode를 선택 후 실행하면, 실제로 변경되지 않고 해당 작업에 대한 테스트 결과가 출력된다.

  • Test Mode를 해제하고 실행하면, 작업 재 확인 팝업이 뜨고, Yes 선택시 수행 후 결과가 출력된다.

  • 이후, 변경 결과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T-code : SM37을 이용해 Batch Job Owner (생성자)가 변경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아래와 같이 Job CreatedBy의 값이 Admin에서 BATCH01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아래의 예시는 Batch Job의 Step user를 변경하는 과정이다.
  • T-code : SM37 > Job Name : "TEST_JOB* > Execute > 검색된 배치를 더블클릭 > Step 클릭 > Step user 확인

2-2) Step user 변경

  • T-code : SE38 > BTC_MASS_JOB_CHANGE > Execute > Job Name : TEST_JOB > Old User : ADMIN, New User : BATCH01 > Change Step User 선택 > Execute
  • 재확인 팝업 Yes 클릭 후, 결과 출력

  • 다시 이전 과정과 동일하게 해당 배치의 Step user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 있다.

3. BTC_MASS_JOB_CHANGE 활용

  • 위 예시들은 한 개의 배치에 대한 Owner, Step user를 변경하였지만, Job Name에 다수의 배치잡 혹은 "*"를 입력하여 다수의 배치 변경이 가능하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SAP > 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AP] Local Client Copy  (0) 2024.06.04
# [SAP] BTCTRNS1, BTCTRNS2  (2) 2024.06.03
# [SAP] Batch Table - TBTCO  (0) 2024.05.15
# [SAP] Activating sap* ( sap* 로그인 )  (0) 2024.04.22
# [SAP] Domain Controller ( 도메인 컨트롤러 )  (0) 2024.04.14
반응형

1. 클라우드란 (Cloud) ?

  • 개념적인 의미로서는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자원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한 기술적 측면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컴퓨팅 제공업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과 같은 자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 사용자는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서 언제든지 이를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불러와 사용하고 사용량 만큼의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On-Demand)
  • 클라우드는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사용 하는 온프레미스 (On-premise) 방식과는 반대 되는 방식이라 볼 수 있다.

      On-premise ?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에 하드웨어를 구입 및 구축, 운영 하는 기업의 일반적인 인프라 운영 방식.

2. 클라우딩 컴퓨팅 (Cloud Computing) 종류

  •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의 제공 형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Public, Private, Hybrid 로 나뉜다.

1)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 특정 기업이나 사용자가 아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Cloud Service Provider - CSP) 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해당 인프라를 공유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
  • 데이터나 기능, 서버 같은 자원은 각 서비스에서 사용자 별로 권한 관리가 되거나 격리되어, 서비스 사용자 간에는 간섭이 없다.
  • 다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하기 때문에 보안과 규제 측면에서는 다소 취약할 있다.

2)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 제한된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스 서비스 모델
  • 자원과 데이터를 기업 내부에 저장하고, 자원의 제어권을 기업에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안성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여 유연성이 높다.
  • 일반적으로 기업이 구축하여 계열사나 고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대규모 기업이나 정부가 선호하는 방식이다.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초기에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서비스 모델이었으나, 최근에는 클라우드와 기업의 온프라미스 방식을 결합해 사용하는 형식으로도 불린다.
  • 기업의 핵심 데이터는 온프라미스에 직접 보관하고, 이벤트나 신규 서비스와 같이 예측이 어려운 워크로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 이러한 방식을 통해 클라우드의 장점인 유연성, 경제성, 신속성과 물리서버의 보안성,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다.

3.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Service) 종류

  • 클라우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IaaS, PaaS, SaaS로 나뉜다.

1) IaaS (Infra as a Service)

  •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가장 넓은 범위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프라 수준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OS, 미들웨어, 런타임, 데이터, 어플리케이션까지 직접 구성 및 관리 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는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다수의 물리 서버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며 서버 운영에 필요한 것을 책임지고 관리한다.
  • 대표적인 IaaS : AWS의 EC2, S3, 가비아의 G Cloude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 PaaS는 IaaS의 가상화된 클라우드 위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서비스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을 미리 구축해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
  • PaaS는 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을 구성한 환경을 제공하기 떄문에 IaaS보다 관리상의 자유도가 낮지만, 반대로 생각할 경우 사용자는 오로지 어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에만 집중 할 수 있게 된다.
  • 대표적인 PaaS : Google App Engine, 세일즈포스닷컴의 Heroku, Redhat의 OpenShift

3) SaaS (Software as a service)

  • 가장 완성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클라우드 서비스 뿐 아니라 위에 소프트웨어를 탑재, 업데이트, 버그 픽스 등의 서비스까지 제공해주는 형태이다.
  • 과거 PC나 서버에 설치해야 했던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를 구매 할 필요 없이 월간/연간 구독 형태로 비용 지불 후, 제공받아 사용 가능 하다.
  • 대표적인 SaaS : 슬랙 (Slack), Microsoft 365, Dropbox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 Batch Job - SM37

1. SAP Batch Job ? 배치잡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예약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장기 메모리를 소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덜 필

leehi0110.tistory.com

1. TBTCO 란?

  • TBTCO ( Job Status Overview Table )는 SAP R/3 ERP System Standard Table로 일반적으로 배치 잡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해당 테이블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백그라운드(배치 잡 포함)의 여러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1) T-code : SE11 > TBTCO 입력 > Display > Table Contents > 조회하고자 하는 배치잡 입력

      2) T-code : SE16 > TBTCO 입력 > Table Contents

2. TBTCO Field

  • T-code : SE11을 이용해 TBTCO를 확인할 경우, 각 Field에 대한 설명을 확인 할 수 있다. ( 다른 테이블도 동일하다. )
  • 해당 테이블에 많은 필드가 존재하지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필드는 아래와 같다.
Key Field Field Short Description
JOBNAME Backgronund Job Name 백그라운드
JOBCOUNT Job ID ID
  SDLSTRTDT Scheduled start date for background job 현재 해당 백그라운드 잡이 Release 되어 있는 날짜
(배치잡을 조회하면 나오는 다음 실행 날짜)
  SDLSTRTTM Scheduled start time for background job 현재 해당 백그라운드 잡이 Release되어 있는 시간
(
배치 잡을 조회하면 나오는 다음 실행 시간)
  SDLDATE Date of job/step scheduling 백그라운드 /스텝을 등록한 일자
  SDLTIME Time of a scheduled job/step 백그라운드 /스텝을 등록한 시간
  SDLUNAME Initiator of job/step scheduling 백그라운드 /스텝을 등록한 사용자
  LASTCHDATE Date of last job change 백그라운드 잡이 마지막으로 변경 일자
  LASTCHTIME Time of last job change 백그라운드 잡이 마지막으로 변경 시간
  LASTCHNAME Last job change made by 백그라운드 잡을 마지막으로 변경한 사용자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0. 이해를 위한 사전 지식

 

# Profile parameter - RZ10 & RZ11

1. SAP Profile & Parameter ? - 시스템이 동작하는 세부 내용에 대한 결정사항으로, 시스템이 구성되거나 반응하는 방향을 결정 짓는 시스템 환경 - Parameter들의 집합체를 Profile이라 볼 수 있다. 2. SAP 시

leehi0110.tistory.com

1. Check sap* login parameter ( 로그인 설정 파라미터 확인 )

  • T-code : RZ10 > login/no_automatic_user_sapstar > Display

  • 파라미터 세부 정보 확인
  • Dynamic Parameter 값이 No인 경우, 파라미터 변경 후 서비스 재시작 필요. ( YES 인 경우 바로 적용, 재부팅하면 기존으로 돌아감 )
  • 파라미터 값이 1인 경우 sap* 로그인 가능하고, 0인 경우 불가능하다.

1. Change sap* login parameter ( 로그인 설정 파라미터 변경 )

  • RZ10과 RZ11을 통해 변경하는 방법이 있지만 여기서는 RZ10을 통해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T-code : RZ10 > DEFAULT profile > Extended maintenance > Display > login/no_automatic_user_sapstar > Change > 0 ( sap* 로그인 가능 값 )으로 변경

  • 변경 후, 뒤로가기 클릭 시 파라미터 변경 여부 선택

  • 뒤로가기 한번 더 클릭 시, 프로파일 변경 여부 선택

  • 마지막으로 상단의 SAVE 버튼을 클릭하면 Profile Activate 여부 선택

  • Profile Activate시, version이 하나 올라가면서 설정이 완료 된다.

  • 이후, sap*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 ( 일반적으로 비밀번호는 " pass " 이다. )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0. 개요

  • 서버 관리 업무 중,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파트너사에서 supportconf 전달을 요청 하는 경우가 많다.
  • SUSE 공식 문서에 해당 내용에 대한 부분이 설명되어 있어 아래와 같이 다시 한번 정리했다.

1. Supportconfig란?

  • SUSE Linux 환경에서 문제 발생 시, 시스템의 상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SUSE Linux Command line tool이다.
  • 해당 툴을 이용해서 생성한 정보는 현재 커널 버전, 하드웨어, 설치 패키지, 파티션 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supportutils 패키지에 의해 제공되는 툴로, supportconfig 실행에 각각 이용되는 플러그인을 통합하기도 한다.
  • 플러그인들은 설치된 패키지에 따라 다르며 /usr/lib/supportconfig/plugins/ 경로에서 확인 가능하다.

  • supportconf tool을 수행시 시스템의 상세 정보를 포함한 TAR 파일이 생성된다. (아래 관련 내용 참조)

2. Supportconfig 수행

  • root 계정으로 접속 후, 명령어 수행
su - 		# root 계정으로 전환
supportconfig 	# 옵션 없이도 수행 가능
  • 각 정보 수집에 대한 상태를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 각 정보 수집에 대한 상태를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 Data Directory : 결과를 보관할 임시 디렉토리로, 이후 tar로 압축되는 대상 폴더이다.
    • Done : 기본 혹은 선택에 의해 정보가 성공적으로 실행되어 파일이 저장된 상태
    • Skipped : 하나 이상의 패키지 파일이 변경되어 건너 뛰어진 상태
    • Excluded : 특정 옵션에 의해 수집하지 않도록 설정되어진 상태
    • Supportconfig Plugins : plugin들을 발견하고 해당 플러그인들을 실행한 상태 ( /usr/lib/supportconfig/plugins/ )
    • Log file tar ball : 수집한 파일들을 tar 파일로 압축한 경로 ( /var/log/nts_<hostname>_xxxxx_xxxx.tbz )

3. Supportconfig 설정

  • Supportconfig 설정 파일을 통해 시스템 정보 상태를 제어 할 수 있다.
  • Supportconfig 파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etc/supportconfig.conf가 있는지 확인

  • 없는 경우 아래 명령어 수행하여 supportconf.conf 파일 생성
supportconfig -C

  • 특정 내용을 수집하지 않도록 설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파일 수정
# ex) /proc 수집하지 않기 원한다면

vi supportconfig.conf
OPTION_PROC=0 ( 1 -> 0 으로 변경 후 수집 시 해당 내용 exclude )

변경 전 -> 변경 후

 

Ref.

 

Gathering system information for support

Describes using the supportconfig tool.

documentation.suse.com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Infra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tcpdump  (0) 2024.05.23
# [Linux] VirtualBox 설치 에러 ( Microsoft Visual C++ 2019 )  (0) 2024.03.19
# [Linux] VirtualBox 설치  (2) 2024.03.19
# [Linux] LVM  (0) 2023.07.26
# [Linux] tmux 설치  (0) 2023.05.17
반응형

1. Network (Packet) Mirroring ?

  • 미러링 (Mirroring)은 네트워크 장비를 이용해 인바운드 (내부->외부) 혹은 아웃바운드 (외부->내부) 패킷을 복사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하기 위한 기술
  • 주로 네트워크 모니터링이나 접근 통제, 침입 방지(IPS), 침입 탐지(IDS)와 같은 보안 장비를 위해 많이 사용된다.
  • 일반적으로 스위치 미러링 (Switch mirroring)과 탭 미러링(TAP mirroring) 두가지 방식이 있다.

2. Switch Port Mirroring

  • 네트워크 스위치 포트에 전달되는 패킷을 다른 포트로 복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 별도의 장비 없이 스위치 자체 설정을 이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스위치 자체에 부하가 심해지면, 본연의 임무 수행을 위해 미러링은 우선순위에서 밀리기 때문에 미러링 패킷이 유실 될 수 있다.

3. TAP mirroring

  • 탭 장비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패킷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패킷 유실 가능성이 적고, 장애 발생시 자체 Bypass 기능을 사용해 서비스 영향도를 줄일 수 있다.
  • 네트워크 라인에 들어가 설치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어느 위치에 설치 되는지가 중요하다.
    (네트워크 라인에 들어가 설치 되더라도 패킷을 직접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Inline이 아닌 Mirroring 방식이다.)

4. Inline (인라인) ?

  • 네트워크 회선 안에 장비가 직접 들어가 Packet을 받는 방식으로, 모든 트래픽이 해당 장비를 거쳐 다음 구간으로 전송된다.
  • 모든 트래픽이 해당 장비를 거쳐 지나가기 때문에 유실되는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고, 보안 정책을 높여 특정 패킷을 Pass / Drop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 트래픽이 장비를 하나 더 거쳐가기 때문에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준다. 또한, 모든 트래픽이 지나가다 보니 과부하로 인한 장비 장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Ref.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Trunk ( Tagging )  (0) 2023.08.14
# [Network] VLAN  (0) 2023.08.10
# [Network]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0) 2023.08.03
# [Network] LAN ( Local Area Network )  (0) 2023.07.28
# [Network] 이더넷 (Ethernet)  (0) 2023.07.19
반응형

1. What is Domain Controller ? 

  • Certain system settings are the same for all systems within a transport domain, such as the transport routes
  • To achieve this, one SAP System in the transport domain has the reference configuration, with all other SAP Systems in the transport domain taking copies of this reference configuration.
  • The system with the reference is known as the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같은 전송 경로 내의 도메인에 속해있는 몇몇 시스템의 세팅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의 설정을 참조하여 나머지 시스템이 동일하게 구성할 있다.
  • 이를 위해 설정의 참조가 되는 서버를 전송 도메인 컨트롤러 (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라고 한다.

 

  • Each time you change the reference configuration, you must distribute the new configuration to all system.
  • The TMS automatically generates RFC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in a domain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 기준이 되는 시스템의 설정을 변경할 마다, 다른 시스템의 설정을 함께 변경된다.
  • 도메인 시스템은 RFC 이용해 서로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이는 TMS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2. How to configure a system as the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Log on in client 000 in the SAP system that you want to configure as the transport domain controller
  • 도메인 컨트롤러로 지정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000 클라이언트로 접속

  • T-code : STMS > TMS : Configure Transport Domain dialog box is displayed.
  • STMS 접속 , 전송 도메인 설정 창이 뜬다.

  • You are asked for the password of user TMSADM
  • TMS ADM 계정 생성을 위한 패스워드 입력

  • You need it to set up an SAP system group again. You change the password of user TMSADM later by executing program "TMS_UPDATE_PWD_OF_TMSADM"
  • SAP System group 구성을 위해 비밀번호가 필요하며, 'TMS_UPDATE_PWD_OF_TMSAMD" 프로그램을 실행해 비밀번호 변경 가능

  • You have to display Transport  Domain
  • 아래와 같이 전송 도메인이 설정 것을 확인 있다.

  • System Overview > Domain Controller 확인 가능

3. How to configure transport route with virtual System ( Virtual System 이용하여 Transport Route 구성 )

  • The virtual system is replaced when you install the real system.
  • 가상 시스템은 실 시스템이 설치 될 때 대체된다.
  • Transport Overview > SAP System > Create > Virtual System

  • Set Virtual System name and description
  • 가상 시스템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하여 생성 있다.

  • T-code : STMS > Transport Route > Confiiguration > Standard Configuration > Development and Production System
  • Landscape 설정을 수행한다. ( 일반적으로 3 Landscape 이지만, 지금은 임시 구성이므로 개발, 운영 시스템으로 설정 )

  • Sele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System and set route automatically
  • 개발과 운영으로 사용할 시스템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Route 설정 완료

 

Ref.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0. Issue

  • Selenium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chromedriver의 버전이 현재 내 Chrome Browser의 버전과 상이하여 발생
  • 일반적으로 chromedriver에 비해 chrome browser version이 높아서 발생

1. Chrome version 확인

  • Chrome 실행 후, 우측 상단의 더보기 클릭 > 도움말 > Chrome 정보 > 현재 사용중인 브라우저 버전을 확인

 

2. Chromedriver 다운로드

 

ChromeDriver - WebDriver for Chrome - Version Selection

Version selection is the process of matching a Chrome binary of a given version to a compatible ChromeDriver binary. For versions 115 and newer Starting with M115 the ChromeDriver release process is integrated with that of Chrome. The latest Chrome + Chrom

chromedriver.chromium.org

  • JSON endpoint를 클릭하면 Github 사이트가 나오고 아래 표시된 링크로 들어가면 JSON 파일이 나온다.

  • JSON 파일에서 [ Ctrl + F ] 기능을 이용해 내가 사용하는 버전 정보를 입력
  • 해당되는 부분에서 Chromedriver 라는 부분을 찾고, 그 뒤에 자신의 OS 정보에 해당하는 부분의 주소를 복사해서 들어가면 다운로드 가능하다.

3. Chromedriver 버전 별 다운로드 주소

  • 편의를 위해 최신에 가까운 버전의 Chromedriver 설치를 위한 경로는 아래와 같이 공유. ( 아래는 Window / Major 버전 기준 )
  • Minor 버전은 생략했지만, 원하는 경우 위 방법을 이용해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Window 32 ]

[ Window 64 ]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1. SAP HANA Replication 이란?

  • SAP HANA System Replication ( HSR ) is a mechanism ensuring the high availability of you SAP system.
    HSR이란 HANA System의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매커니즘 이다.
  • System replication is SAP's recommended configuration for addressing SAP HANA Outage reduction due to planed maintenance, faults, and disasters.
    SR은 계획된 유지 관리, 결함, 재난에 대응하여 서비스 중단 시간을 줄이기 위해 SAP에서 권장하는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2. System replication 동작 원리

  • HANA System Replication이 활성화 되면, Secondary DB의 각 서버 프로세스들이 Primary DB와 연결되고 데이터 스냅샷을 요청한다.
  • 그 이후, Primary DB에서의 모든 변경 로그들을 지속적으로 복제한다.

  • Redo log가 복제되기 전 가지는 Primary DB의 트랜잭션은 커밋되지 않고, 이는 SR 구성시 설정하는 복제 모드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 System Replication이 수행되는 동안, Secondary DB는 Standby 상태로 유지되고 takeover 발생시 Primary DB의 역할을 넘겨 받아 Active DB로서의 역할을 한다.
    ( 일반적으로 Primary DB는 Active DB, Secondary DB는 Standby DB라고 부른다. )
  • Primary DB에 문제가 발생하면 Secondary DB는 복제모드가 아닌 운영모드로 전환 ( takeover )되며, 이슈가 발생한 DB가 정상화 되면 이를 Secondary DB로서 유지하거나 기존의 구성으로 되돌린다.

3. 이외의 구성

  • System Replication을 이용해 2 tier가 아닌 Active <-> Standby <-> DR ( Disaster Recovery ) 형태의 3 tier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Secondary DB는 Primary DB를 복제하고, DR DB는 Secondary DB를 복제한다. ( 보통 Sync / Async Mode의 차이를 두며 관련 내용은 이후 포스팅 예정 )

  • 물론, Secondary DB와 Third DB가 모두 Primary DB를 복제하는 Multitarget System Replication 구성도 가능하다.
    ( 해당 기능의 경우 HANA version에 따라 지원 가능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SAP Help Portal

 

help.sap.com

 

반응형

'SAP > HA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ANA] Database User  (0) 2024.03.17
# [HANA] HANA DB  (0) 2023.12.13
# [HANA] SAP HANA STUDIO 설치  (0) 2023.08.22
# [HANA] HANA version  (0) 2023.02.27
# [HANA] HANA DB Startup sequence ( HANA DB 실행 순서 )  (0) 2023.02.10
반응형

0. SAP Batch Job

  • T-code : SM36은 배치 잡을 등록,SM37은 배치 잡을 조회 할 수 있는 T-code 이다.

        SM36 - Batch Job 등록 : 2022.12.04 - [SAP/BC] - # [SAP] Batch Job - SM36 ( Job Wizard )

        SM37 - Batch Job Overview : 2022.12.07 - [SAP/BC] - # Batch Job - SM37

1. 배치 잡 시간 변경 ( Batch Job Schedule Change )

  • T-code : SM37 에서 시간 변경을 원하는 배치 잡 검색

  • 변경을 원하는 배치 선택 > 상단 툴 바에서 Job 선택 > Change 선택

  • 시간 변경의 경우 Start condition을 선택

  • Scheduled Start Date, Time을 원하는 값으로 변경

  • 주기 변경을 원하는 경우 하단의 Period values 클릭 후, 원하는 주기로 선택 후 저장

  • 시간 변경이 완료 되면, 아래 Job Start의 시간이 변경 된 시간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 해당 값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단의 Save 클릭

  • 저장 후, 검색 화면으로 돌아온다. 배치 잡을 다시 클릭하면 변경 된 시간으로 조회가 가능하다.

2. 배치 잡 작업 변경 ( Batch Job Step Change )

  • 변경을 원하는 배치 잡 선택 후 Change 모드로 진입 ( 시간 변경 과정과 동일 ) > Step 클릭

  • 기존 Step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 변경 한 Step 클릭 후 Change 선택
  • 신규 Step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 Create 선택

  • 신규 Step의 경우 Program name, Variant 설정 후 저장하면 신규 Step이 반여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0. VirtualBox 설치

 

# [Linux] VirtualBox 설치

1. VirtualBox 란? VirtualBox는 오라클에서 개발한 가상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는 물리적인 호스트 위에 다양한 OS ( Linux, Window, macOS 등 )를 가상화 환경으로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2. VirtualBox 다운

leehi0110.tistory.com

1. 설치 중 Microsoft Visual C++ 2019 에러 발생

  • 오류 내용 : Oracle VM VirtualBox 7.0.14 needs the Microsoft Visual C++ 2019 Redistributable Package
                       being installed first. Please install and restart the installation of Oracle VM VirtualBox 7.0.14

2. 원인 및 해결 방안

 

지원되는 최신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다운로드

이 문서에는 최신 버전의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learn.microsoft.com

  • 다운로드 받은 VC_redist.x64를 실행하여 설치 진행

 

  • 설치가 완료된 뒤, VirtualBox 설치를 진행하면 MS Visual C++ 2019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Infra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tcpdump  (0) 2024.05.23
# [Linux] Supportconfig  (0) 2024.04.18
# [Linux] VirtualBox 설치  (2) 2024.03.19
# [Linux] LVM  (0) 2023.07.26
# [Linux] tmux 설치  (0) 2023.05.17
반응형

1. VirtualBox 란?

  • VirtualBox는 오라클에서 개발한 가상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는 물리적인 호스트 위에 다양한 OS ( Linux, Window, macOS 등 )를 가상화 환경으로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2. VirtualBox 다운로드 및 설치

  • 다운로드 경로 ( Download URL ) :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 Extension Pack을 함께 설치하면 호스트 OS의 주변 기기를 게스트 OS에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Downloads – Oracle VM VirtualBox

Download VirtualBox Here you will find links to VirtualBox binaries and its source code. VirtualBox binaries By downloading, you agree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license. VirtualBox 7.0.14 platform packages The binaries are released unde

www.virtualbox.org

 

# [Linux] VirtualBox 설치 에러 ( Microsoft Visual C++ 2019 )

0. VirtualBox 설치 2024.03.19 - [Infra/LINUX] - # [Linux] VirtualBox 설치 # [Linux] VirtualBox 설치 1. VirtualBox 란? VirtualBox는 오라클에서 개발한 가상화 소프트웨어로, 사용자는 물리적인 호스트 위에 다양한 OS ( Lin

leehi0110.tistory.com

  •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실행 후 Next를 눌러 설치를 진행한다.

  • 설치 경로 및 항목에 대한 설정을 변경 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선택하면 기본으로 설치가 진행된다.

  •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VirtualBox가 실행된다.

3. VirtualBox Extension Pack 설치

  • 파일 > 도구 > 확장 패키지 관리자 > 설치

  • 다운로드 받은 확장 팩 선택 > 설치 > 라이선스 동의까지 수행 시, 확장팩 설치가 완료된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오라클 버추얼박스(VirtualBox)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버추얼박스(VirtualBox)는 본래 이노테크(InnoTek)가 개발한 뒤, 현재는 오라클이 개발 중인 가상화 소프트웨어로 여러가지 운영체제(리눅스, MacOS, 솔라리스, 윈도우 등)를 가상화 하여 운영해 볼 수

phantom.tistory.com

 

반응형

'Infra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Supportconfig  (0) 2024.04.18
# [Linux] VirtualBox 설치 에러 ( Microsoft Visual C++ 2019 )  (0) 2024.03.19
# [Linux] LVM  (0) 2023.07.26
# [Linux] tmux 설치  (0) 2023.05.17
# [Linux] Tmux  (0) 2023.05.16
반응형

1. SAP HANA Database User ?

  • SAP HANA Database Users may be technical users or correspond to real end users.
  • HANA DB Users는 기술 사용자이거나 실제 사용자 유저 (End User)를 의미한다.
  • 사용자들이 SAP HANA를 이용해 작업을 (업무) 수행하고자 할 때, 필요한 권한을 가진 계정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2. User Type

-  Database Users that Correspond to Real People

  • 사용자가 SAP HANA를 이용해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계정을 통해 생성 된 계정을 사용해야 한다.
  • 사용자가 그룹을 떠날 경우 해당 계정은 삭제 (Drop) 되며, 계정이 소유하고 있던 오브젝트 또한 삭제된다.
    또한, 계정으로 부여한 권한은 자동으로 회수된다.
  • Databasse User들은 CREATE USER 혹은 CREATE RESTRICTED USER 명령어를 이용해 생성된다.

 

    1) Standard Users

      -  해당 유저는 CREATE USER 구문을 통해 생성되어 기본적으로 그들 소유의 schema를 생성할 수 있고
         시스템 뷰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계정이다.

      -  시스템 뷰에 접근하여 읽을 수 있는 권한은 PUBLIC role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role은 모든 standard user에게 주어진다. 

     2) Restricted users

      -  해당 유저는 CREATE RESTRICCTED USERS 구문을 통해 생성 되어, 기본적으로 아무 권한도 가지지 않은 계정이다.

      -  해당 유저는 Client Application을 통해 SAP HANA에 접근하거나, full SQL 사용을 의도하지 않는 사용자들을 위한 것이다.

      -  사용자 업무를 위해 특정 권한이 필요한 경우 해당 업무를 위한 권한만을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Technical Database Users

  • 해당 계정은 실 사용자에 상응하지 않는 계정으로, 사용자가 그룹을 떠나더라도 삭제되지 않는다.
  • 즉, 해당 계정은 사용자를 위해 생성된 것이 아닌 관리자 업무를 위해 존재하는 계정으로 특정 사용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3. Standard User

  • SAP HANA를 설치, 업그레이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Standard User는 아래와 같다.
  • 실제 본인이 운영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계정은 SYSTEM이고 조금 딥(?)하게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계정들은 (*) 표시 된 계정이다. ( 만약,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원한다면 아래의 Ref 를 참고하자 )

User Description
(*) SYSTEM SAP HANA 설치 단계에서 생성 되는 계정으로 다른 데이터 베이스 계정, 테이블 생성 등등의 매우 강력한 권한을 소유한 파워 유저이다.

이외에도, SAP HANA cockpit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cockpit 관련 몇몇 권한이 해당 계정에 부여되어 있다.
<sid>adm 운영 시스템 사용자로 보통 시스템 운영 관리자로 불리기도 한다.
해당 계정은 SAP SYSTEM의 모든 로컬 자우너에 제한 없이 접근 할 수 있다.
(*) SYS 시스템 테이블, 모니터링 뷰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소유한 테크니컬 데이터베이스 유저이다.
XSSQLCC_AUTO_USER <generated_ID> SQL Connection을 위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테크니컬 계정으로 설정을 위해 명시된 권한을 자동으로 부여 받는다.
_SYS_AFL 어플리케이션 함수 라이브러리 ( Application Function Libraries )에 관한 모든 객체를 소유한 테크니컬 유저이다.
_SYS_EPM SAP Performance Management application에 의해 사용되는 테크니컬 유정다.
(*)_SYS_REPO SAP HANA Repository에 의해 사용되는 테크니컬 유저로 아래의 Repository의 모든 객체를 소유하고 있다.

The Repository는 attribute views, analytic views, calculation views, procedures, analytic privileges, roles과 같은 다양한 객체가 포함된 패키지들로 구성되었다.
(*)_SYS_STATISTICS SAP HANA DB의 internal monitoring mechanism에 의해 사용되는 계정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베이스의 상태, 성능, 리소스 사용량 등을 수집하여 필요시 alert을 띄워준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시 high alert을 주의 깊게 보는데 해당 역할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계정이다. )
_SYS_TASK 모든 프레임워크 오브젝트를 소유한 테크니컬 유저이다.
_SYS_XB 오직 내부 사용을 위해 사용되는 테크니컬 유저이다.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SAP > HA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ANA] SAP HANA System Replication ( HSR )  (0) 2024.03.26
# [HANA] HANA DB  (0) 2023.12.13
# [HANA] SAP HANA STUDIO 설치  (0) 2023.08.22
# [HANA] HANA version  (0) 2023.02.27
# [HANA] HANA DB Startup sequence ( HANA DB 실행 순서 )  (0) 2023.0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