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클라우드란 (Cloud) ?

  • 개념적인 의미로서는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자원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한 기술적 측면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컴퓨팅 제공업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과 같은 자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 사용자는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서 언제든지 이를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불러와 사용하고 사용량 만큼의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On-Demand)
  • 클라우드는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사용 하는 온프레미스 (On-premise) 방식과는 반대 되는 방식이라 볼 수 있다.

      On-premise ?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에 하드웨어를 구입 및 구축, 운영 하는 기업의 일반적인 인프라 운영 방식.

2. 클라우딩 컴퓨팅 (Cloud Computing) 종류

  •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의 제공 형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Public, Private, Hybrid 로 나뉜다.

1)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 특정 기업이나 사용자가 아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Cloud Service Provider - CSP) 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해당 인프라를 공유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
  • 데이터나 기능, 서버 같은 자원은 각 서비스에서 사용자 별로 권한 관리가 되거나 격리되어, 서비스 사용자 간에는 간섭이 없다.
  • 다만,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하기 때문에 보안과 규제 측면에서는 다소 취약할 있다.

2)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 제한된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스 서비스 모델
  • 자원과 데이터를 기업 내부에 저장하고, 자원의 제어권을 기업에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안성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여 유연성이 높다.
  • 일반적으로 기업이 구축하여 계열사나 고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대규모 기업이나 정부가 선호하는 방식이다.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초기에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서비스 모델이었으나, 최근에는 클라우드와 기업의 온프라미스 방식을 결합해 사용하는 형식으로도 불린다.
  • 기업의 핵심 데이터는 온프라미스에 직접 보관하고, 이벤트나 신규 서비스와 같이 예측이 어려운 워크로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 이러한 방식을 통해 클라우드의 장점인 유연성, 경제성, 신속성과 물리서버의 보안성,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다.

3.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Service) 종류

  • 클라우드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IaaS, PaaS, SaaS로 나뉜다.

1) IaaS (Infra as a Service)

  •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가장 넓은 범위의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프라 수준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받은 사용자가 OS, 미들웨어, 런타임, 데이터, 어플리케이션까지 직접 구성 및 관리 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는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다수의 물리 서버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며 서버 운영에 필요한 것을 책임지고 관리한다.
  • 대표적인 IaaS : AWS의 EC2, S3, 가비아의 G Cloude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 PaaS는 IaaS의 가상화된 클라우드 위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서비스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을 미리 구축해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
  • PaaS는 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을 구성한 환경을 제공하기 떄문에 IaaS보다 관리상의 자유도가 낮지만, 반대로 생각할 경우 사용자는 오로지 어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에만 집중 할 수 있게 된다.
  • 대표적인 PaaS : Google App Engine, 세일즈포스닷컴의 Heroku, Redhat의 OpenShift

3) SaaS (Software as a service)

  • 가장 완성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클라우드 서비스 뿐 아니라 위에 소프트웨어를 탑재, 업데이트, 버그 픽스 등의 서비스까지 제공해주는 형태이다.
  • 과거 PC나 서버에 설치해야 했던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를 구매 할 필요 없이 월간/연간 구독 형태로 비용 지불 후, 제공받아 사용 가능 하다.
  • 대표적인 SaaS : 슬랙 (Slack), Microsoft 365, Dropbox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e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