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31

# [Linux] Alias with arguments ( 매개변수를 이용한 별명 )

1. Alias 란? 2023.04.14 - [LINUX] - # [Linux] Shell Alias ( 쉘 별칭 ) # [Linux] Shell Alias ( 쉘 별칭 ) 1. Alias란 ? 기존 명령어에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는 것으로 별명/별칭의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거나 명령어의 길이가 길 경우 alias를 사용해 편하게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Alias leehi0110.tistory.com 2. 인수를 사용한 Alias 생성 - Bash Shell Local alias 등록을 위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예제 1 : 특정 경로로 이동 후, 현재 경로 출력 [user@localhost ~] $ function cdpwd { > cd $1; pwd } [user@localhos..

Infra/LINUX 2023.04.18

# [Linux] Shell Alias ( 쉘 별칭 )

1. Alias란 ? 기존 명령어에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는 것으로 별명/별칭의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거나 명령어의 길이가 길 경우 alias를 사용해 편하게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Alias의 경우 로컬 / 사용자 / 시스템으로 나누어 설정 할 수 있다. Local alias의 경우 세션을 종료 할 경우 사라진다. User alias의 경우 각 사용자에게 적용 할 수 있다. System alias의 경우 전체 사용자에게 적용 할 수 있다. 2. Alias 사용 - Alias 등록 확인 # 등록된 Alias 확인 alias - Alias의 경우 Shell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계정의 쉘이 무엇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 사용중인 Shell 확인 echo $she..

Infra/LINUX 2023.04.14

# [Network] 게이트웨이 (Gateway)

1. Gateway란?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곳으로 이기종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해준다. 두 컴퓨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 통신을 위해 두 프로토콜을 변환해주는 변환기가 필요한데 게이트웨이가 이 역할을 한다. 같은 네트워크에서는 MAC Address를 이용해 통신하기 때문에 Gateway를 몰라도 통신이 가능하다. 2. 비유를 통한 이해 게이트웨이는 고속도로에 있는 톨게이트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도시 도시 간 이동을 위해 톨 게이트를 지나가야 하듯, 네트워크 네트워크 간 이동을 위해서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야 한다. 3. 역할 및 특징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IP 주소는..

Infra/Network 2023.03.28

# [Linux] PAM

1. PAM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인증 모듈로써 사용자의 사용 권한 ( 접근, 패스워드 등 )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PAM 사용 이전에는 자체적으로 로직을 구현하거나, 별도의 접근제어 툴을 사용하여 접근, 명령어, 원격접속 등의 관리를 수행했다. PAM 모듈은 소프트웨어 개발, 인증 및 안전한 권한 부여 쳬계를 분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떄문에, 인증을 위한 로직을 직접 만들 필요가 없고, passwd 파일을 열람하지 않아도 돼 시스템을 더욱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게 됐다. 2. 기존 인증 vs PAM 인증 응용프로그램 자체적으로 사용자 인증 과정 PAM 모듈을 통한 사용자 인증 과정 3. PAM 기본 구조 - Module Type 모듈 타입 필드는 PAM에 어떤 종류의 인증을 사용할 것인지를..

Infra/LINUX 2023.03.24

# [Linux] scp 명령어

1. SCP ( secure copy ) - ssh를 이용해 네트워크로 연결 된 호스트 간 원격으로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명령어 - ssh와 동일한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목적지 서버의 22번 포트 ( SSH Port )가 개방 돼 있어야 한다. - 리눅스 서버간 전송 이외에도 원도우 환경에서도 리눅스 서버와 scp를 이용한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2. 로컬 서버 ( 접속 서버 ) -> 원격 서버 파일 전송 - 예시 원격 IP : 10.111.123.124 단일 파일 전송 # scp man scp [옵션] [전송 파일] [유저명]@[원격 서버 IP]:[목적지 경로] # 사용 예시 scp test.txt root@10.111.123.124:/test 복수 파일 전송 # scp man scp [옵션]..

Infra/LINUX 2023.03.17

# [Linux] systemd & systemctl

1. systemd 란? - systemd는 부팅부터 서비스 관리, 로그 관리 등 시스템 전반적인 영역에 있는 프로세스이다. - 즉, OS 부팅시 systemd가 1번 프로세스로 실행되어, 모든 프로세스의 직간접 부모 데몬으로 OS에 필요한 다른 데몬들을 init 해주는 역할을 한다. ✓ Daemon ( 데몬 ) ? 2023.02.07 - [LINUX] - # [Linux] Daemon (데몬) # [Linux] Daemon (데몬) 1. Daemon (데몬) 이란? -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기동 될 때 실행되거나 특정 요청이 오면 대응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대기중인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이다. - 일반적으로 1번 프로세스 init ( PID =1 )이 leehi0110.tistory.com ✓ 이전에는 i..

Infra/LINUX 2023.02.08

# [Linux] Daemon (데몬)

1. Daemon (데몬) 이란?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기동 될 때 실행되거나 특정 요청이 오면 대응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대기중인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이다.일반적으로 1번 프로세스는 systemd라는 프로세스로 OS 부팅시 가장 먼저 실행되어, OS에 필요한 여러 데몬을 init 해주는 역할을 한다.데몬 프로그램의 명칭은 보통 'd'로 끝난다. ( ex. httpd, ftpd ... )2. Daemon Type - 데몬 종류  (1) standalone독립적으로 실행되며, 요청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메모리에 항상 대기하는 데몬 방식메모리에 항상 대기하기 때문에 요청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르지만, 백그라운드로 항상 대기하기 때문에 메모리 효율이 좋지 않다.사용자 웹 서비스 요청의 경우 매우 빈번히 일어나..

Infra/LINUX 2023.02.07

# [Network] Quorum

1. Quorum ? - 합의체가 의사를 진행시키거나 의결을 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인원수 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더. - IT적인 개념으로 해석한다면, 다수의 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 환경에서 스플릿 브레인 ( Splite-Brain ) 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분산환경에서 적용된다. - 쿼럼은 클러스터 장애로 인해 노드 고립이 발생한 경우 온라인 시킬 노드와 펜싱 처리할 노드를 판단해 데이터 유실을 방지 ✓ 스플릿 브레인 ( Splite-Brain ) ? 2022.12.08 - [Network] - # 스플릿 브레인 ( Splite-Brain ) 2. Quorum 구성 - 쿼럼 서버( Quorum Server )와 쿼럼 클라이언트로( Quorum Client ) 구성 된..

Infra/Network 2022.12.09

# [Network] 스플릿 브레인 ( Splite-Brain )

1. 스플릿 브레인 ( Splite-Brain ) - 일반 클러스터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클러스터의 기본 노드에서 실행되고, 기본 노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기본 노드의 역할을 보조 노드로 이동한다. - 스플릿 브레인은 클러스터의 구성원이 서로 통신할 수 없지만, 실행 및 작동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이후에 공통 리소스의 소유권을 동시에 가져갈 때 발생한다. - 클러스터 내의 모든 노드들이 자신이 Primary Node ( master ) 라고 인식해 이중 가동 현상이 발생하고, 각 노드들이 동시에 스토리지에 접근하기 때문에 데이터 동기화 및 복제에 비정상적인 트랜잭션을 발생시킨다. 2. 해결 방안 - 스플릿 브레인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분산 시스템에 적용되어 있는 쿼럼 ( Quorum = 정족수 ) 을..

Infra/Network 2022.12.08

# [Linux] Traceroute

1. traceroute - traceroute 명령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목적지 서버로 가는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해주는 명령어 - traceroute는 ping 명령어와 동일하게 IC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로를 확인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ICMP 프로토콜을 제한하는 라우터가 중간에 존재할 때는 해당 정보를 파악 할 수 없다. ✓ ICMP 란 ? 2022.12.02 - [Network] - # ICMP # ICMP 1.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 IP는 패킷을 목적지에 도달시키기 위한 내용들만으로 구성 돼, 도착지 호스트가 꺼져 있거나 선이 단절된 경우와 같이 패킷 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 leehi0110.tistory.com 2. ..

Infra/LINUX 202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