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 Trunk를 알기 위한 사전 지식
1. Trunk ( Tagging ) 이란 ?
- 이론적으로 VLAN이 추가될 때 마다 포트를 추가해야 하는데 4096번까지의 VLAN을 수용할 수 있는 스위치가 존재하지 않응뿐더러 VLAN별 포트를 부여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VLAN이 하나의 포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Trunk ( Tagging ) 이며, 스위치 간 Trunk mode로 설정된 물리포트를 Trunk port 혹은 Tagged port 라 한다.
✔ Access port ? 하나의 VLAN만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 포트를 Access port 라고 한다.
-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Trunk를 사용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 물리적인 포트의 개수가 차이가 나게 된다.
2. Trunk 동작 방식
-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Trunk mode로 설정된 port를 통해 두 스위치의 VLAN이 통신하게 되고 각 VLAN의 이동 순서는 아래와 같다.
Case 1) Switch 1의 VLAN 10 -> Switch 2의 VLAN 10
- VLAN 10 단말 -> Switch Access port -> Switch 1 Trunk port -> Switch 2 Truck port -> Switch 2 Access port -> VLAN 10 단말
Case 2) Switch 1의 VLAN 20 -> Switch 2의 VLAN 20
- VLAN 20 단말 -> Switch 1 Access port -> Switch 1 Trunk port -> Switch 2 Trunk port -> Switch 2 Access port -> VLAN 20 단말
- 프레임을 전달 받은 스위치는 PC LAN 카드가 Tag ( VLAN )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Tag를 제거하여 전달한다.
- 트렁크 포트를 지나는 프레임이 어떤 VLAN 값을 가지고 있는지 식별해야 정확한 도착지로 전달이 가능한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이 IEEE 802.1Q 이다.
3. IEEE 802.1Q
- IEEE에 의해 표준화 된 VLAN 규격으로, 이더넷 프레임에 태그를 붙이는 방법의 표준을 정의하고 있다.
- 트렁크 포트를 지나는 프레임이 어느 VLAN 그룹에 속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스위치가 해당 표준을 따른다.
- 802.1Q는 트렁크 포트로 진입하는 이더넷 프레임의 Source MAC과 Ether Type 사이에 VID ( VLAN ID ) 를 포함하는 32비트 필드를 추가하여 이더넷 프레임을 확장한다.
- 반대쪽 트렁크 포트에서 해당 프레임의 헤더의 VID 값을 확인하여 해당 프레임이 어느 VLAN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한다.
Ref.
🙋♂️ 궁금한 점이나 잘못된 내용을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반응형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Packet 제어 ( Mirroring / Inline ) (0) | 2024.04.15 |
---|---|
# [Network] VLAN (0) | 2023.08.10 |
# [Network]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0) | 2023.08.03 |
# [Network] LAN ( Local Area Network ) (0) | 2023.07.28 |
# [Network] 이더넷 (Ethernet) (0) | 2023.07.19 |